목록네트워크 (9)
먹었으면 뇌를 쓰자

무선 랜 이해하기 지금까지는 유선인 랜선 방식의 네트워크에 대해 알아보았다. 이제는 랜선을 사용하지 않고, 전파를 이용해서 무선으로 네트워크를 형성하는 방법을 많이 사용한다. 가령 카페에 갔을 때, 라우터와 스위치에 랜선을 꼽고 노트북을 해야 한다면 이토 준지 만화처럼 기괴한 모습으로 모여 앉아 노트북을 하는 사람들을 볼 수 있을 것이다. 무선 랜을 사용하면 귀찮게 랜선을 꼽을 필요가 없고, 랜선이 닿기 어려운 상황에서도 전파로 통신할 수 있다. 그러나 유선보다 속도가 불안정하고, 전파가 약하면 통신이 잘 끊기며, 해킹 위험이 높아진다. 무선 랜 무선 액세스 포인트(WAP, Wireless Access Point)와 무선 클라이언트(스마트폰, 노트북 등)으로 구성된다. WAP은 무선 공유기, 무선 AP라..

네트워크의 전체 흐름 살펴보기 힘들었다. 여기까지 달려오느라. 그렇지만 네트워크를 이루는 나무의 이름과 모습을 하나하나 살펴보고 왔기 때문에, 이제 네트워크라는 커다란 숲을 한눈에 바라볼 수 있게 되었다. 대단하다. 물론 숲을 보면서도 '저 나무 이름이 뭐였지...?' 라는 생각이 들 것이다. 하지만 이런 상황을 대비해서 나는 7개의 게시물을 작성해놓았다. 까먹으면 다시 보러 가면 된다. 랜 카드에서의 데이터 전달과 처리 스위치와 라우터에서의 데이터 전달과 처리 웹 서버에서의 데이터 전달과 처리 네트워크의 전체 흐름을 위와 같이 3가지의 연속적 단계로 파악해보자. 즉, 내 컴퓨터(클라이언트)에서 웹 서버(서버)로 정보를 요청하는 과정을 따라가보는 것이다. 이번엔 각을 잡고, 예쁘게 아름답게 정리할 것이다..

응용 계층: 애플리케이션에 데이터 전송하기 책에서는 응용 계층을 하위 계층인 표현 계층과 세션 계층의 기능을 포괄한 것으로 지칭하고 있다. 배우는 입장에서 한 자라도 부담을 덜어준다면 오히려 좋아. 응용 계층은 사용자(클라이언트)의 요청을 통신 대상(서버)가 이해할 수 있는 메시지(데이터)로 변환하여 전송 계층으로 전달한다. 또 반대로 전송 계층으로부터 서버의 메시지를 전달받아 클라이언트에게 전달하기도 한다. 응용 계층에서는 크게 세 가지 애플리케이션과 이를 처리하는 프로토콜을 살펴본다. 첫째, 웹 사이트 접속과 HTTP이다. 둘째, 파일 전송과 FTP이다. 셋째, 이메일 송수신과 SMTP/POP3이다. 또한 네트워크에서 기기에 붙여진 이름을 기반으로 IP 주소를 알아내는 '이름 해석' 작업에 쓰이는 D..

전송 계층: 신뢰할 수 있는 데이터 전송하기 짜장면은 국물이 없다. 국물에 붇지는 않지만 오래되면 떡된다. 짬뽕은 국물이 있다. 떡은 되지 않지만 오래되면 팅팅 붇는다. 전송 계층아~ 너도 어쩔 수 없는 네트워크인가봐. 전송 계층의 프로토콜은 정확성을 중시하는 TCP와 효율성을 중시하는 UDP로 나뉜다. 지금까지 배운 물리 계층, 데이터 링크 계층, 네트워크 계층 중에서 가장 이해하기 쉬운 계층이다. 전송 계층(transport layer) 데이터를 정확하게 전달하고, 오류가 발생하면 재전송을 요청하며, 올바른 목적지를 확인하는 계층이다. 연결형 통신 정확성을 최우선으로 데이터를 전달한다. TCP(transmission control protocol, 전송 제어 프로토콜) 방식을 사용한다. 비연결형 통신..

네트워크 계층: 목적지에 데이터 전달하기 네트워크 계층의 핵심은 '목적지'와 '경로'이다. 데이터 링크 계층의 MAC 주소는 물리 주소로서 어느 컴퓨터의 랜 카드 집 주소로 가야 하는지를 나타낸 것이다. 네트워크 계층에서는 IP 주소라는 논리 주소가 사용되는데, 이는 어느 컴퓨터의 네트워크 집 주소로 가야 하는지를 나타낸 것이다. 인터넷을 사용할 때는 다른 네트워크와 연결되어야 하기 때문에 IP 주소가 꼭 필요하다. 네트워크 계층 - IP와 라우팅 프로토콜(경로 탐색), IP 주소 (컴퓨터 네트워크 주소) 데이터 링크 계층 - 이더넷 프로토콜(유선 연결), MAC 주소 (컴퓨터 랜 카드 주소) 네트워크 계층(network layer) 서로 다른 네트워크에 있는 목적지로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해 필요하다. ..

데이터 링크 계층: 랜에서 데이터 전송하기 여기서부터 본격적인 네트워크 연결 마술쇼가 시작된다. 물리 계층의 전기 신호 제어는 랜 카드와 랜선, 허브처럼 실체가 있는 장비와 협업하는 시스템이었다. 데이터 링크 계층부터는 네트워크 내부의 프로토콜이 중요해진다. 그리고 개념적으로 이해해야 하는 것들이 많아진다. 데이터 링크 계층(data link layer) 네트워크 기기 간에 물리 주소를 설정하고 데이터를 전송한다. 이더넷(ethernet) 이더넷은 랜에서 데이터를 주고 받을 때 사용하는 프로토콜이다. 랜을 구성할 때는 이더넷(유선), 와이파이(무선), LTE(무선) 등의 프로토콜이 있다. CSMA/CD 이더넷을 통해 여러 대의 컴퓨터가 데이터를 주고 받을 때 충돌을 막기 위한 방식이다. CS : 데이터를..

물리 계층: 데이터를 전기 신호로 변환하기 데이터의 송수신은 물리 계층에서 0과 1의 집합인 디지털 신호가 전기 신호로 변환되기 때문에 가능한 일이다. 글을 적으면서도 너무 신기하다. 그게 어떻게 가능한 걸까? 가능하니까 가능해졌겠지. 전기 신호는 전압이 일정한 패턴을 형성하며 만들어진 신호이다. 전기 신호를 주고 받음으로써 네트워크에서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전기 신호에는 전화 회선이나 라디오 방송에 쓰이는 아날로그 신호, 컴퓨터 통신에 쓰이는 디지털 신호가 있다. 아날로그 신호를 전류의 유무, 극성, 위상의 동일과 반대 등 물리적 현상을 이용해 컴퓨터가 인식하는 0과 1의 이진수에 대응시켜 나타내는 신호가 디지털 신호이다. 송신 컴퓨터가 전송하는 0과 1의 비트열 데이터는 디지털 신호로 바뀌어 ..

네트워크의 기본 규칙 앞서 네트워크는 다양한 기능을 하는 여러 계층으로 이루어져 있다고 했다. 2장의 핵심은 네트워크 계층, 그리고 각 계층의 통신 규칙인 프로토콜이다. 사실 나는 7장까지 공부한 뒤 이 글을 쓰고 있다. 처음에는 프로토콜을 단순히 넘겼는데, 이제는 그렇게 하면 안된다는 걸 알게 되었다. 네트워크는 프로토콜 그 잡채이다. 비유하자면 네트워크라는 붕어빵에는 프로토콜이라는 팥소가 가득 차 있는 것이다. 프로토콜(protocol) 네트워크에서 원활한 통신을 위해 미리 정해놓은 규칙이다. 예를 들어 친구에게 편지를 보낼 때 이 과정에서 여러 규칙이 적용된다. 나는 알맞은 우표를 사서 붙여야 하고, 알맞은 우체통에 편지를 넣어야 한다. 집배원은 알맞은 장소로 편지를 옮겨야 하고, 편지는 알맞은 동..

10일 만에 배우는 네트워크 기초 네트워크 공부를 하자. 개발자를 새로운 진로로 잡으면서 주변에 이것저것 물어보았다. 비전공자인데요, 언어 말고 또 뭘 공부하면 좋을까요? 그러자 누군가 친절히 대답해줬다. (아주 많은 것들과 함께) 네트워크 공부를 하세요. 문과생에게 네트워크는 인적 네트워크, 즉 인맥밖에 없었는데요... 이번 기회에 내 인생의 다른 네트워크도 알아가 보자. 내가 선택한 교재는 알록달록한 일러스트가 많은 라는 책이다. 지은이 미즈구치 카츠야는 리눅스 재팬 대표이사다. 이름값이 있을 것 같고, 또 그림이 있어서 재밌을 것 같다. 네트워크(network) 컴퓨터 간의 연결로 데이터를 보낼 수 있는 통신망이다. 우리는 매일매일 인터넷(internet)이라는 가장 거대한 네트워크를 사용하며 살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