먹었으면 뇌를 쓰자

0. 아주 기본적인 네트워크 본문

네트워크

0. 아주 기본적인 네트워크

뇌이비 2022. 10. 24. 18:27

10일 만에 배우는 네트워크 기초 

 

네트워크 공부를 하자. 개발자를 새로운 진로로 잡으면서 주변에 이것저것 물어보았다. 비전공자인데요, 언어 말고 또 뭘 공부하면 좋을까요? 그러자 누군가 친절히 대답해줬다. (아주 많은 것들과 함께) 네트워크 공부를 하세요. 문과생에게 네트워크는 인적 네트워크, 즉 인맥밖에 없었는데요... 이번 기회에 내 인생의 다른 네트워크도 알아가 보자.

 

내가 선택한 교재는 알록달록한 일러스트가 많은 <모두의 네트워크> 라는 책이다. 지은이 미즈구치 카츠야는 리눅스 재팬 대표이사다. 이름값이 있을 것 같고, 또 그림이 있어서 재밌을 것 같다.

 

 

 

 

네트워크(network)

 

컴퓨터 간의 연결로 데이터를 보낼 수 있는 통신망이다.

 

 

우리는 매일매일 인터넷(internet)이라는 가장 거대한 네트워크를 사용하며 살고 있다. 인터넷은 어마무시하게 큰 네트워크부터 아주아주 작은 네트워크까지 전 세계를 연결하는 하나의 네트워크이다. 네트워크는 다양한 기능이 결합되어 있다. 그리고 이 기능은 여러 계층의 형태로 되어 있다. 

 

 

 

패킷, 비트와 바이트, 문자 코드 

 

컴퓨터는 네트워크를 통해 데이터를 주고 받는다. 이 때 크기가 큰 데이터를 그대로 보내면 네트워크 대역폭(단위 시간당 전송량)을 많이 차지해서 다른 데이터의 흐름이 막힐 수 있다. 따라서 데이터는 패킷(packet)이라는 작은 조각으로 쪼개져 전송된다. 

 

모든 컴퓨터는 0과 1의 정보만 이해할 수 있다. 0과 1의 정보를 나타내는 최소 단위를 비트(bit)라고 한다. 비트가 8개 모이면 바이트(byte)가 된다. 컴퓨터는 기본적으로 바이트 단위로 데이터를 읽고 쓴다. 

 

그런데 컴퓨터가 0과 1이라는 숫자만 이해한다면, 문자는 어떻게 쓰는 걸까? 숫자와 문자의 대응표가 만들어져 있기 때문에 가능한 일이다. 이 대응표를 문자 코드(character code)라고 한다. 예를 들어 키보드의 문자 자판 'C'를 누르면 컴퓨터로 문자 코드가 전달되고, 컴퓨터는 해당 문자에 대응하는 문자 코드 번호 '67'을 확인해 화면에 'C를 표시한다. 

 

 

 

랜과 왠 

 

랜(LAN, Local Area Network)은 근거리를 범위로 하는 네트워크이다. 사무실이나 가정과 같이 지리적으로 제한된 공간은 랜으로 네트워크를 구성한다. 일반 사용자, 기업 등이 네트워크를 구축하여 인터넷을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사업자를 ISP(Internet Service Provider)라고 한다. 우리나라는 KT, SKT, LG 유플러스 등이 대표적인 ISP 통신 사업자이다. 

 

ISP가 제공하는 서비스를 사용하여 랜과 랜을 묶으면, 원거리를 범위로 하는 네트워크인 왠(WAN, Wide Area Network)을 구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Brain 회사의 서울 지사 랜과 부산 지사 랜을 왠으로 구성할 수 있다. 

 

 

 

가정에서 하는 랜 구성

 

1. ISP와 인터넷 회선을 결정하고 계약한다

2. ISP와 네트워크를 연결하는 인터넷 공유기(브로드밴드 라우터)를 설치한다

3. 인터넷 공유기를 중심으로 내부 인터넷망을 구성하고 컴퓨터, 스마트폰 등 기기를 연결한다

(연결 방식에는 유선 랜과 무선 랜이 있는데, 최근의 인터넷 공유기는 무선 랜을 기본으로 지원한다)

 

 

 

 

 

 

회사에서 하는 랜 구성

 

1. 회사에서 구성하는 랜은 다양한 서버가 사용된다. 

2. DMZ(DeMilitarized Zone)는 외부에 공개하기 위한 네트워크이다. 웹 사이트를 외부 이용자에게 공개하는 웹 서버, 외부 이용자와 메일을 주고 받는 메일 서버, 외부에서 도메인 이름을 사용해 회사의 서버에 접속할 수 있는 DNS 서버 등이 DMZ에 포함된다. 

3. 회사는 사내 또는 데이터 센터 내에서 서버를 운영하거나 (온프레미스 on-premise), 인터넷을 통해 운영한다 (클라우드 cloud).

4. 회사의 각 서버나 컴퓨터는 스위치나 무선 랜 기능을 이용해 사내 랜에 접속한다. 

 

 

 

 

 

 

 

 

 

* 이 게시물은 미즈구치 카츠야의 책 '모두의 네트워크'에 담긴 내용을 개인 공부 목적으로 정리한 것입니다.

 

모두의 네트워크 | 미즈구치 카츠야 - 교보문고

모두의 네트워크 | 네트워크를 전혀 몰라도 괜찮다! 초보자와 비전공자를 위한 가장 쉬운 네트워크 입문서[모두의 네트워크]는 이제 막 네트워크를 공부하기 시작했거나 공부해야겠다고 마음먹

product.kyobobook.co.kr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