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JAVA/백준 알고리즘 (47)
먹었으면 뇌를 쓰자

문제 정답 (*floorDiv, floorMod - 몫과 나머지를 반환하는 메소드) 검색을 통해서 floorDiv와 floorMod 메소드를 찾아내기는 했다. 이전 A/B 문제에서 소수점 아래를 표현하기 위해 정수형 int가 아닌 실수형 double을 썼던 것이 생각났다. floorDiv는 차치하고, floorMod를 나타내려면 double을 써야 한다고 판단했다. 그러자 아래와 같은 오류 메시지가 떴다. Main.java:12: error: no suitable method found for floorDiv(double,double) 다시 검색을 해보니 floorDiv 메소드는 int 변수를 받아서 (몫이니까 당연하게도) int 값을 반환한다. floorMod 메소드 또한 int로 나머지 '값'만 반환..

문제 정답 (*Data Types - 변수의 기본 속성) import java.util.Scanner; public class Main{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args){ Scanner sc = new Scanner(System.in); double A = sc.nextDouble(); double B = sc.nextDouble(); System.out.println(A/B); } } - 소수점 아래를 출력하려면 데이터 타입을 실수형으로 바꿔야 한다. 자바 데이터 타입 원시 데이터 타입 byte, short, int, long, float, double, boolean, char 일반 데이터 타입 String, etc... 원시 데이터 타입 데이터 타입 크기 설명 b..

문제 정답 (*Scanner - 사용자 입력값을 받을 때 쓰는 클래스) import java.util.Scanner; public class Main{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args){ Scanner sc = new Scanner(System.in); int A = sc.nextInt(); int B = sc.nextInt(); System.out.println(A*B); } }

문제 정답 (*Scanner - 사용자 입력값을 받을 때 쓰는 클래스) import java.util.Scanner; public class Main {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grs){ Scanner sc = new Scanner(System.in); int A = sc.nextInt(); int B = sc.nextInt(); System.out.println(A-B); } }

문제 정답 (*Scanner - 사용자 입력값을 받을 때 쓰는 클래스) import java.util.Scanner; public class Main {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Scanner sc = new Scanner(System.in); int A = sc.nextInt(); int B = sc.nextInt(); System.out.println(A+B); } } - util 패키지와 Scanner 클래스를 삽입한다 - Scanner 객체를 만든다 - 변수를 정의하고 데이터 타입에 맞는 메소드를 호출한다

문제 정답 public class Main { public static void main (String[] args) { System.out.println("강한친구 대한육군"); System.out.println("강한친구 대한육군"); } }